로그인이 필요한 페이지 입니다.
K-MOOC 50+적합 콘텐츠를 이용하시려면 로그인이 필요합니다.
아이디가 없으신 분은 회원가입을 하시기 바랍니다.
2018-10-01
<서울시50+동향> 국내에서 시행되고 있는 50+생애설계교육은 은퇴 후나 노후 대비에 중점을 두고 있다. 하지만 중년 세대는 사회적 관계를 늘리고 싶어하는 학습자가 많다. 따라서 서울시50플러스캠퍼스의 교육과정은 50+세대의 특성과 욕구를 반영한 생애설계적 관점을 구현하고자 한다.
2018-10-01
<서울시50+동향> 앙코르커리어센터는 전환교육 프로그램 운영을 통해 50+세대의 퇴직 후 인생 재설계를 지원한다. 본 글에서는 앙코르커리어 센터의 개념과 역할, 기존의 전직지원서비스와 앙코르커리어 전환교육의 차이점, 전환교육의 절차, 프로그램 구성과 향후 계획 등을 설명해준다.
2018-10-01
<서울시50+동향> 서울시50플러스재단에서는 2017년, ‘50+상담센터 콘텐츠 개발 연구’와 ‘서울시 50+종합상담 시스템 구축 연구’를 추진하였다. 이는 보다 실효성 있는 인생 재설계 상담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50+ 상담의 표준적인 콘텐츠를 정립하고 상담 시스템을 체계화하려는 노력이다.
2018-10-01
<서울시50+동향> 지난 6월 28일, 서울창업허브에서 <서울50+국제포럼2018>이 “국내·외 50+일자리 실험 사례”라는 주제로 개최되었다. 이번 포럼은 영국과 네덜란드의 사례를 바탕으로 서울시의 50+세대가 더 오래, 의미 있게 일하기 위해 필요한 환경에 대해 모색하였다.
2018-10-01
<서울시50+동향> 본 글에서는 영국의 에이지오브노우리타이어먼트의 통찰과 경험을 토대로, 한국 정부와 서울시 50플러스재단이 50플러스세대의 능력과 경험, 생산력을 활용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해 논의한다. 한국의 상황과 성과, 남은 과제를 바탕으로 해결 방법을 고찰하고, 향후 전망까지 살펴보고 있다.
2018-10-01
<서울시50+동향> 지난 8월, 서울시50플러스재단은 토론토에서 열린 국제고령화연맹이 주최한 제14차 고령화 글로벌 컨퍼런스에 참석하여 미국 앙코르닷오르그, 독일 퀘버 재단, 영국 네스타와 함께 ‘고령사회의 장수배당 기회에의 포착: 4개 국가의 관점’이라는 심포지엄을 공동 주관하였다.
2018-10-01
<해외50+동향> 미국 50+세대의 생애설계 정책 현황과 프로그램을 살펴보고, 필자가 직접 참여한 미국의 ‘디자이닝유어라이프(Designing Your Life)’ 프로그램을 세부적으로 소개한다. 뉴욕타임즈 선정 베스트셀러 도서 <디자인유어라이프(Design Your Life)>를 바탕으로 한 이 프로그램을 국내에서 발전시킬 수 있는 방법에 대해 제언한다.
2018-10-01
<해외50+동향> 독일의 성인 교육 체계를 살펴보고, 독일 지역 시민을 위한 평생 교육의 장 시민대학(Volkshochschulen)에 대해 자세히 알아본다. 시민대학의 교육 이념, 교육 내용, 프로그램 현황과 50+세대의 참여 현황을 살펴본다. 국내 50+세대의 교육 환경에 비추어, 연령과 교육 수준에 상관없이 누구나 배움의 뜻을 이어갈 수 있는 독일 시민대학이 주는 시사점을 찾아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