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인이 필요한 페이지 입니다.
K-MOOC 50+적합 콘텐츠를 이용하시려면 로그인이 필요합니다.
아이디가 없으신 분은 회원가입을 하시기 바랍니다.
2019-11-14
50+세대가 갖고 있는 전문성과 네트워크 그리고 개인의 열정과 사회적 목적이라는 관점에서 앙코르커리어는 우리 사회의 새로운 인적 자원과 신뢰 자본을 쌓아가는 방식이며 단순한 틈새 일자리가 아닌 또 하나의 주된 일·활동이 될 것이다.
2019-11-14
나이 들어가는 부머(Aging Boomers)의 욕구를 파악하고, 성공적 노년기를 위한 6가지를 제안하는 미국의 대표적 비영리민간기관인 매더라이프웨이즈처럼 서울시50플러스재단도 50+세대 스스로가 새로운 50+문화를 형성하고 확산하는데 조연이 되고자 한다.
2019-11-14
서대문50플러스센터의 워크숍, 양산시청의 공모전, 서울시50플러스재단 정책연구센터의 당사자연구 공모사업 등을 통해 50+세대의 직접참여로 이루어지는 장년을 위한 제안을 살펴본다.
2019-11-14
세계적인 인구고령화 관련 사업 및 연구 기관인 독일 쾨버 재단은 50플러스 관련 공모 사업, 연구 조사, 출판, 컨퍼런스, 네트워킹 등 다양한 프로그램을 시행하여 은퇴 후 삶과 노년에 대한 새로운 관점을 제시한다. 쾨버 재단의 접근 방식은 우리가 50+세대 관련 사업을 전개하는 데 반드시 고려해야 할 점이다.
2019-10-31
50+세대가 디지털에이징을 통해 세대 간 격차를 줄이고 사회적 역할을 확대해갈 수 있는 길을 알아본다.
2019-10-15
장·노년층은 격차세대로만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 더욱 성숙한 인간중심의 디지털 문화, 디지털 격차 해소, 생활문화예술 등으로 발전시켜 장·노년층에게 보급하고 건강하고 활기찬 노년을 만들어 나가야 할 것이다.
2019-10-15
동일한 50+세대 내에서도 세대 내 정보격차가 발생하고 있다. 이는 이 시대의 중요한 사회문제인 세대 간 갈등을 만든다. 이를 위해 정부는 고령층 ICT 사회참여활동 사업을 시행해 왔지만 이제 지자체와 교육청, 대학 그리고 노인단체 등이 공동으로 고령층의 정보격차 해소와 사회참여를 이끌어 세대 간 소통과 통합을 마련해야 할 것이다.
2019-10-15
서울 장노년층의 디지털역량 실태를 알아보고 정보화 교육 수요와 정보화 교육과정 현황을 살펴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