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인이 필요한 페이지 입니다.
K-MOOC 50+적합 콘텐츠를 이용하시려면 로그인이 필요합니다.
아이디가 없으신 분은 회원가입을 하시기 바랍니다.
2020-08-24
[50+리포트 2020] 3호 v.21 <지속가능한 사회적 경제를 위한 50+세대의 역할>
2020-08-24
지금 우리 사회는 인구구조 변화에 따른 사회문제 해결 방안으로 신중년의 사회적 자산 활용을 통한 사회적경제 활성화에 주목하고 있다. 이를 위해 경제 성과와 사회적 가치 창출을 동시에 추구할 수 있는 다양한 사회적 노력이 집중되고 있다. 사회적경제가 지속적으로 성장하기 위해서는 정책 실행과 더불어 다양한 경험과 전문성을 가진 신중년의 적극적인 참여와 노력이 필요하다.
2020-08-24
새로운 사회변화와 글로벌 위기 상황 속에서 고령화는 또 하나의 화두이다. 이런 시대적 상황 속에서 우리가 주목해야 할 것은 50+세대의 경험과 전문성이다. 50+세대가 참여하는 협동조합은 정보의 공유, 협력과 상생의 조직체로서 현재의 위기에 대한 대응할 수 있는 초석일 것이다. 우리는 사회적 지원체계 결합과 정책을 통해 50+세대 협동조합의 비전과 지속적인 가능성을 확보해 나아가야 한다.
2020-08-24
2030년 초고령 사회로 진입할 것으로 예상되는 영국. 영국의 사회적 경제는 상호주의와 협력이란 경제에 원칙을 두고 있지만 각종 조사와 분석 자료에서 볼 수 있듯이 영국 내 50+세대의 사회적 기업 창업활동은 저조하다. 이들 중 사회적 기업을 창업한 기업가들의 특성과 동기 등을 살펴보고 지속가능한 50+ 사회적 기업과 50+세대의 사회적 경제 영역에 대한 참여를 위한 영국 정부의 정책을 알아본다.
2020-08-24
2016년에서 2020년까지 5년간 사회적경제 분야에서 50+세대의 일과 활동을 확장하기 위해 서울시50플러스재단과 50+유관기관들이 다양한 활동을 해왔는데, 이를 교육, 창업 과정, 일자리사업의 범주로 나누고 어떠한 내용으로 활동에 주력해왔는지 알아본다.
2020-08-24
서울시50플러스재단은 50+세대가 갖고 있는 경험과 전문성을 사회적 경제 분야에 활용하고 사회의 재진입을 지원해 퇴직 후 지속적인 일과 사회 활동을 할 수 있도록 <서울50+인턴십>의 ‘소셜마케터’ 사업을 진행하고 있다. 한국사회적기업진흥원과 사회적경제 기업 지원기관인 사람과 세상, 서울시50플러스재단이 공동으로 협력해 50+세대를 위한 사회적 경제 분야 일자리 모델을 발굴하고 50+인재발굴과 함께 다양한 진출 경로를 마련한다.
2020-07-27
[50+리포트 2020] 2호 v.20 <포스트 코로나 시대를 위한 50+세대의 준비>
2020-07-27
중장년에 접어들면서 50+세대는 세월의 변화와 더불어 코로나19와 같은 사회적 환경변화에 뒤처지며 상실감에 빠지기도 한다. 하지만 시간이 가져다준 중장년이란 변화의 이면에는 경험이라는 소중한 보물과 지식이 있다. 나만이 걸어온 ‘마이 웨이’ 속에서 긍정적인 삶의 해석과 성공 프라이드를 바탕으로 이제는 남을 위한 삶이 아닌 나를 위한 인생 2막을 열어보자.